11월, 2023의 게시물 표시

방사선치료의 부작용

 방사선치료의 부작용 ▶전신적 부작용  방사선치료의 부작용은 적용된 특정 부위나 범위, 조사된 방사선의 양, 환자의 건강상태에 따라 치료 후에 몇 주 내에 다양하게 나타날 수 있다. 방사선치료의 부작용은 다음과 같은 형태로 나타난다. ▶피로  방사선치료 중에는 정상적으로 소모되는 것보다 더 많은 에너지가 소모된다.  이로 인해 방사선치료 과정과 이후에 많은 피로를 경험하게 된다. 피로는 방사선치료 초기에 나타날 수 있으나 초기 피로는 충분ㄴ한 휴식을 취하면 회복되는 경우가 많다. 치료가 진행되면서 만성적인 피로가 발생할 수 있는데, 이는 암으로 인한 통증, 우울증, 식욕부진, 빈혈, 감염, 호흡곤란 등에 의해 야기된다. 피곤함의 정도는 개인차가 있지만 대부분의 환자들은 일상생활을 수행할 수 있다. 이러한 피로는 치료 후 몇 주에서 몇 달간 나타나며 치료 종료 후 약 2~6주간에 걸쳐 점점 사라진다. ▶피부의 문제  방사선이 조사된 국소적인 부분의 피부에 건조, 붉어짐, 부어로름, 가려움증, 벗겨짐, 약해짐, 색이 어두워짐 등의 증상들이 나타날 수 있다.  피부 반응의 정도는 다양하지만 방사선조사량이 클수록 심해진다. 액와, 가슴 아래, 회음부, 서혜부와 같이 피부가 접하는 부위의 피부는 다른 부위에 비해 따뜻하고 수분이 많아서 방사선에 더 민감하다. 치료 부위의 피부 반응은 치료 시작 후 2주일이 지나면서 나타난다. 처음에는 옅은 분홍색을 띄다가 어둡고 거무스름하게 진행된다. 피부가 민감해지면 약간의 부종이 생기기도 한다. 치료가 진행될수록 가렵고 건조해지며 건성 피부 박리가 오기도 한다. 치료 시작 후 4~6주에는 간혹 피부의 상피세포가 벗겨지고 장액성 삼출몰이 흐르는 습성 피부박리가 나타나기도 한다. 이런 부작용들이 치유되는 기간은 보통 2~4주 걸린다. 색소침착은 이보다 오래 가는데 햇볕에 탄 피부의 색깔이 쉽게 회복되지 않는 것과 같은 이치이다. 피부혈관의 변화 때문에 발생하는 피부위축, 모세관 확장증...

강도 변조 방사선 치료

 강도 변조 방사선 치료 ◼강도변조 방사선치료(IMRT: Intensity Modulated Radiotherapy)란  강도변조 방사선 치료는 방사선 차폐 장치인 다엽 콜리메이터를 컴퓨터로 정밀하게 조절하여, 방사선 조사 범위를 수백 개의 조각으로 나누어 개별적으로 선량을 조사하는 방식의 최첨단 방사선치료 방법이다. 이러한 방식으로 기존의 3차원 입체조형 치료보다 더욱 정밀한 방사선 치료가 가능하며, 정상 조직에 나타나는 부작용을 최소화할 수 있다. ◼강도변조 방사선 치료의 원리  강도변조 방사선치료는 치료 계획, 치료, 치료 검증 등 치료의 전 과정에서 고도의 정밀성이 요구되며 모든 치료 과정은 컴퓨터로 분석된 데이트를 바탕으로 이루어진다. 마치 화가가 정밀한 그림을 그리듯 방사선량을 조절할 수 있어 암 부위만 집중적으로 치료하는 것이 가능하다. 그러므로 강도 변조 방사선 치료는 기존 방사선 치료에 비해 방사선 치료로 인한 부작용 발생은 최소화하면서 암의 완치율을 높일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강도변조 방사선치료의 적응증  강도변조 방사선치료는 암 부위에 특이적으로 방사선량을 많이 조사할 수 있으므로 모든 종량이 대상이 되지만, 치료가 복잡하여 치료준비 및 치료시간이 오래 걸리고, 치료비가 매우 비싸다. 따라서 기존 방사선치료에서 심각한 부작용이 나타나는 경우가 특히 강도변조 방사선치료의 대상이 되고 있다. - 두경부암  비인두암, 인두암, 하인두암, 구강암, 성문암 등은 기존 방사선 치료 시 침샘 파괴로 인한 구강 건조증이 문제가 되는데, 강도 변조 방사선치료를 통해 침샘으로의 방사선량을 최소화하여 구강 건조증을 감소시킬 수 있다. - 전립선암의 경우에는 전립선과 직장, 방광이 매우 근접하게 위치하여 기존 방사선 치료로는 합병증 없이 전립선암 부위에 충분한 양의 방사선을 조사하여 치료하기가 어려웠다. 이러한 경우 강도변조 방사선치료를 이용하여 직장, 방광 등 정상 장기에 대한 방사선 치료 합병증을 최소화하면서...

정위적 방사선 수술

 정위적 방사선 수술 ▶정위적 방사선수술이란 ◼정위적 방사선수술이란 최첨단 선형가속기가 발생시키는 방사선을 이용하여 두개강 내 및 두경부 내의 병소치료 시 두개골을 잘라내지 않고 정위적(입체적)으로 매우 정확하게 파괴하는 안전하고 비침습적인 치료방법을 말한다. 또한 종래의 뇌수술 시 필연적으로 따르던 위험이나 합병증을 최소화하면서 수술과 동등한 혹은 더 나은 치료 효과를 얻을 수 있는 획기적인 최첨단 무혈 방사선수술방법이다. ◼정위적 방사선수술의 종류  정위적 방사선수술을 할 수 있는 장비로는 정위 방사선 수술용 콘(cone)을 장착하거나 미세 다엽 콜리메이터를 장착한 선형가속기, 감마 나이프, 사이버 나이프 등이 있다. - 선형가속기를 이용한 방사선 수술  주선은 우주에서 주변의 행성을 기준으로 하여 자신의 위치를 파악한다. 다시 말해서 주변 행성의 위치로부터 자신의 3차원적인 위치를 알 수 있는 것이다. 이와 마찬가지로 각 행성의 역할을 하는 정위 장치를 환자의 머리에 씌우고 전산화단층촬영(CT)이나 자기공명영상촬영(MRI)을 하게 되면, 이들 촬영 영상 위에 정위 기준과 병소가 나타나고 이들 정위 기준에 의해 병소의 3차원적인 좌표를 알 수 있게 된다. 이렇게 얻어진 명소의 좌표를 이용하여 방사선치료 장비(외부 방사선치료에 쓰이는 선형가속기에 특수 제작된 정위 방사선 수술용 콘(cone)이나 너비 약 2~4mm의 미세 다엽 콜리메이터를 장착)의 최전중심과 병소의 중심을 일치시킨 후, 병소 주변의 정상 조직을 최대한 보호하기 위한 컴퓨터 치료를 설계하고, 후에 이에 따라서 대량의 고선량을 여러 방향에서 일시에 집중적으로 조사한다. 이렇게 일시에 고선량을 안전하게 병소에만 투여함으로써 종래의 마취 위험 및 치료 후 합병증을 감소시키고, 수술로만 제거가 가능했던 복잡한 두개강 및 두경부 내의 병변을 안전하고 비수술적인 방법으로 제거할 수 있게 되었다. 또한 선형가속기를 이용한 정위 방사선수술은 기존의 수술과 동등한 혹은 더 나은 치료효...

암 방사선치료의 이해 부작용

 암 방사선치료의 이해 부작용 ▶방사선이란  방사선은 에너지를 가진 입자 혹은 파동의 흐름이 공간이나 매질을 통해 전파되는 것을 의미한다. 방사선은 그것이 발생하는 근원에 따라 두 종류로 나뉘는데, 태양, 땅 음식물, 우주 등에서 나오는 가시광선, 적외선 등과 같은 자연 방사선과 가전 제품, 진단용 X-선 장치, 암치료 장비 등에서 발생하는 인공 방사선이 있다. 이 중 방사선 치료에 이용되는 전리 방사선은 에너지가 충분히 커서 어떤 물질에 흡수되면 물질의 이온화를 유발시킬 수 있는 방사선을 말하며, 대체로 고에너지 방사선을 의미한다. ▶방사선의 종류 - 전자기 방사선  광자로 이루어져 있으며 대표적인 예로는 감마선, X-선, 자외선, 가시광선, 적외선, 전자파, 라디오파 등이 있다. - 입자 방사선  전자선, 양성자선, 중성자선, 중전하 입자 등이 있다  이중에서 감마선, X-선, 전자선, 양성자선, 중성자선이 암 치료에 많이 사용되고 있다. ▶방사선 치료의 기전  방사선을 세포에 조사하면 방사선이 세포의 생존에 필수적인 기관인 DNA(모든 생물체의 유전물질)와 세포막에 직접 혹은 간접적으로 작용하여 세포를 죽이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방사선을 받은 세포는 대부분 그 이후에 세포 분열을 할 때 죽고, 일부 세포는 세포가 노화되어 정상적으로 수명을 다하는 세포 사멸이라는 과정을 통해 죽게 된다.  방사선 조사를 받으면 정상 조직과 암 조직에서 모두 방사선으로 인한 장애를 일으키게 된다. 정상 조직은 어느 정도의 지나면 장애로부터 회복되지만, 종양 조직은 어느 정도 기간 동안 충분한 회복이 불가능하다. 그러므로 이를 고려해 하루에 180~200cGy씩 장기간 분할 치료를 하면 정상 조직의 방사선 장애를 최소화하면서 종양 조직의 파괴는 높여 효율적인 치료가 가능하게 된다. ▶방사선 치료의 종류  암 치료에서 방사선 치료의 목표는 정상 세포를 최대한 보호하면서 모든 유해한 암세포를 파괴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