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5월 17일 토요일

멍울이 잡히나요? 유방암 증상, 진단, 치료 TNM 병기 그리고 예방

유방암에 대한 자세한 설명입니다. 이 글은 유방암의 정의부터 증상, 원인, 진단법, 치료, 예방법까지 깊이 있게 다룹니다.

유방암 완전 가이드

1. 유방암이란?

 유방암은 유방의 조직, 특히 유관(젖줄)과 유엽(젖샘)에서 시작되는 악성 종양(암)을 의미합니다. 여성에게서 가장 흔한 암 중 하나이며, 최근에는 남성 유방암도 소수 존재합니다.

유방암

유방암은 한 가지 질병이 아닌 다양한 아형(subtype)을 가지고 있으며, 각각 치료법과 예후가 다릅니다. 조기에 발견하면 완치율이 높지만, 전이되면 치료가 어려워지므로 정기적인 검사와 예방이 매우 중요합니다.

 

2. 유방의 구조

유방은 크게 다음과 같은 구조로 되어 있습니다:
- 유엽 (lobule): 젖을 만드는 부분
- 유관 (duct): 젖을 유두로 운반하는 통로
- 지방조직과 결합조직: 유방의 볼륨을 구성
- 림프절: 유방 주변에는 액와 림프절(겨드랑이), 쇄골 림프절이 있어 암이 전이되기 쉬운 부위입니다.

3. 유방암의 종류 

1) 비침윤성 유방암 (제자리암) 

- 관내암종(DCIS: Ductal Carcinoma In Situ)
: 유관 내에만 암세포가 국한된 상태
: 조기 발견 시 100%에 가까운 완치율 

2) 침윤성 유방암 (전이 가능) 

- 침윤성 관암종(IDC: Invasive Ductal Carcinoma)
: 전체 유방암의 80~90% 차지
: 유관을 넘어 주변 조직으로 퍼진 상태 

- 침윤성 소엽암종(ILC: Invasive Lobular Carcinoma)
: 유엽에서 시작되어 주변으로 침투
: 비교적 드문 유형 

3) 기타 특수 형태 

- 염증성 유방암
- 삼중음성 유방암 (호르몬 수용체와 HER2 모두 음성)
- 남성 유방암

4. 유방암의 주요 원인과 위험 요인 

1) 호르몬 요인 

- 에스트로겐 노출 기간이 길수록 위험 증가
- 초경이 빠르고 폐경이 늦은 여성
- 임신 경험이 없는 여성
- 장기간의 호르몬 피임약 또는 호르몬 치료 

2) 유전적 요인

- BRCA1, BRCA2 유전자 돌연변이 보유자
- 어머니나 자매 중 유방암 병력 있을 경우
- 유전성 유방암은 전체 유방암의 약 5~10%를 차지 

3) 생활습관 요인 

- 비만, 고지방 식단
- 음주, 흡연
- 신체활동 부족
- 스트레스 과다

4) 기타 요인

- 고령
- 유방 밀도 높음 (고밀도 유방)
- 방사선 노출 병력
- 나이트 근무(호르몬 교란 가능성) 

5. 유방암의 증상 

유방암 초기에는 증상이 거의 없지만, 다음과 같은 변화가 있을 수 있습니다

- 멍울(혹): 딱딱하고 움직이지 않는 단단한 덩어리
- 유두 분비물: 특히 혈액 섞인 분비물
- 유두 함몰 또는 변형
- 피부 변화: 오렌지 껍질처럼 두꺼워짐, 붉어짐
- 통증: 드물지만 특정 부위에 지속적인 통증
- 겨드랑이 림프절 종대: 덩어리 만져짐 

유방암 증상

※ 증상이 있다고 해서 모두 암은 아니며, 단순 낭종이나 양성 종양일 수도 있습니다.

 

6. 유방암 진단 방법 

1) 자가검진 

- 매달 월경 끝난 후 3~5일 후에 자가검진
- 유방에 멍울, 유두분비물, 피부 변화 확인 

2) 임상 진찰

의사에 의한 촉진 및 시진 

3) 영상 검사

- 유방촬영술(맘모그램): 40세 이상 여성에 추천
- 유방 초음파: 고밀도 유방, 젊은 여성에 효과적
- MRI: 고위험군, 유전성 유방암 의심 시 

4) 조직 검사

- 세침흡입검사
- 총 조직 생검(Core needle biopsy)
- 절개 생검

7. 병기(Stage) 분류 

유방암은 일반적으로 TNM 병기를 기준으로 0~4기로 나뉩니다.

- 0기: 제자리암 (DCIS)
- 1기: 종양 크기 2cm 이하, 림프절 전이 없음
- 2기: 종양 크기 2~5cm 또는 림프절 전이 일부
- 3기: 림프절 다수 침범 또는 피부/흉벽 침범
- 4기: 폐, 간, 뼈, 뇌 등 원격 전이 

8. 유방암 치료 방법 

1) 수술 

- 유방 절제술: 전체 유방 제거
- 부분 절제술(유방 보존술): 종양과 주변 조직만 제거
- 림프절 절제술: 액와 림프절 절제 또는 감시 림프절 생검 

2) 방사선 치료

- 수술 후 잔존 암세포 제거
- 유방 보존술 후 필수적 

3) 항암 화학요법 

- 종양 크기 감소 목적(선행화학요법)
- 수술 후 재발 방지(보조화학요법) 

4) 호르몬 요법

- 에스트로겐 수용체 양성(ER+, PR+) 환자 대상
- 타목시펜, 아로마타제 억제제 등 사용
- 수년간 장기 복용 필요 

5) 표적 치료

- HER2 양성일 경우 허셉틴(트라스투주맙) 사용
- 새로운 표적 치료제 (퍼제타, 티카브, 엔허투 등)도 증가 

6) 면역 치료

- 일부 삼중음성 유방암에 적용
- 파클리탁셀 + 면역항암제 병용 가능 

9. 치료 후 관리 및 재발 방지 

- 정기적인 추적검사: 영상 촬영, 혈액검사 등
- 식습관 개선: 저지방, 고섬유질 식이
- 금연, 금주, 체중 관리
- 적절한 운동: 걷기, 요가 등 권장
- 심리적 안정: 유방암 생존자는 우울증이나 불안 동반 많음 

10. 유방암 예방 

1) 생활습관 관리 

- 적절한 체중 유지
- 알코올 섭취 최소화
- 신체활동 유지
- 채식 위주의 식단

2) 호르몬 요법 신중히 사용 

- 폐경 후 호르몬대체요법은 의사 상담 후 단기간만 

3) 정기 검진

- 30세 이상 여성: 자가검진, 유방 초음파
- 40세 이상 여성: 1~2년에 한 번 유방촬영술
- 고위험군: MRI 포함한 종합 검진 필요 

4) 유전자 검사 및 예방 수술 

- BRCA1/2 유전자 돌연변이자: 예방적 유방절제, 난소절제 가능
- 안젤리나 졸리 사례로 유명해짐 

유방암 예방

11. 유방암 생존율 

병기   /   5년 생존율 (대한민국 기준)
0기   /   98~100%
1기   /   95~98%
2기   /   85~90%
3기   /   60~70%
4기   /   30% 이하 

※ 조기 발견이 가장 중요한 생존율 결정 요인입니다.

맺으며

 

 유방암은 조기 발견하면 완치가 가능한 병이지만, 방심하거나 늦게 발견하면 예후가 나빠질 수 있습니다. 자가 검진, 정기 검진, 건강한 생활습관을 통해 예방과 조기 진단이 가장 중요한 무기입니다.

현대 의학의 발전으로 치료법도 점점 다양해지고 있습니다. 진단을 받았다고 해서 너무 절망하지 마시고, 의사와 협력하여 맞춤형 치료를 받는 것이 가장 현명한 대처입니다.

건강한 발톱 관리를 위해 알아볼까요

건강한 발톱 관리법에 대한 상세한 설명입니다. 발톱의 구조와 기능부터 위생관리, 발톱 질환 예방법, 홈케어 방법, 전문가 치료까지 모두 포함해 설명드리겠습니다. 건강한 발톱 관리를 위한 종합 가이드 1. 발톱의 구조와 기능 이해하기  1) 발톱의 구...